수필 | 광야의 소리 2022-01/02 목차로 가기 | p11-p12 | |||||
2022년 한국 대선에 대한 |
|||||||
코리안리서치센터(원장 주동완)에서 ‘2022년 한국 대선에 대한 미주한인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기간은 2021년 12월 1일부터 12월 5일까지 5일간이었으며, 조사 설문지는 총 1,524명에게 카톡과 이메일을 통해 전달했으며 응답자는 165명으로 조사 응답률은 10.8%였다. 조사문항은 대선과 관련된 질문 5개 문항과 인구학적 질문 3개 문항 등 총 8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조사결과는 대선 관련 질문 5개 문항에 대한 통계분석과 함께 3개의 인구학적 질문에 대한 후보 지지도를 교차분석하여 설문조사 분석의 정밀도를 더했다. 1. 조사응답자의 성격이번 설문조사에 응답한 응답자들의 성격은 성별, 연령별, 이민연수별 등 3개의 변수로 조사되었다. 먼저 성별 항목에 응답한 응답자수는 158명으로, 이 가운데 남자는 64%, 여자는 36%로 남자 응답자가 여자 응답자보다 많았다. |
![]() |
|
|||||
![]() |
연령별 조사응답자 현황은 총 161명의 응답자 가운데 30대가 2%, 40대가 5%, 50대가 18%, 60대가 42%, 70대가 28%, 80대 이상이 5%였다. 60대의 조사 참여율이 다른 세대에 비해 높았으며 30대와 40대 등 젊은 연령층의 조사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민연수별 조사응답자 현황은 총 162명의 응답자 가운데 10년 이내 거주가 7%, 11년~20년 거주가 12%, 21~30년 거주가 22%, 31~40년 거주가 29% 그리고 40년 이상 거주가 30%로 나타났다. 미주 한인들의 신이민이 시작된 것이 1965년 개정이민법이 발효된 이후부터라고 할 때, 이제 미주 한인들의 이민 역사도 56년이나 되었기 때문에 이민연수가 30년 이상 된 한인들이 전체 조사응답자의 59%를 차지하고 있다. 2. 통계분석 결과 |
![]() |
|||||
![]() |
2022년 한국 대선과 관련해서는 본 선거에 대한 관심도, 투표권의 유무, 투표권이 있는 경우 투표 참여정도, 지지하는 후보 그리고 본 조사 당시 지지했던 후보가 앞으로 90여 일 남은 선거유세기간 동안 바뀔 가능성이 있는지 등에 대해 조사했다. 먼저 2022년 한국 대선에 대한 미주한인들의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해 “귀하는 2022년 한국 대선에 관심이 있으십니까?”라고 질문했다. 이에 대해 총 161명이 응답한 결과, ‘관심 있다’가 87%, ‘관심 없다’가 13%를 차지해서 미주한인들이 상당한 관심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2022 한국 대선에 대한 미주한인들의 관심도 (응답자수: 161명) 본 설문조사의 응답자들이 한국 대선에 투표권이 있는지의 유무를 알기 위해 “귀하는 2022년 한국 대선에 투표권이 있으십니까?”라고 질문했다. 총 159명의 응답자 가운데 ‘투표권이 있다’는 응답자가 34%, ‘투표권이 없다’는 응답이 66%로 나타났다. 투표권이 없다는 응답이 66%인 것은 미주한인들의 미국 시민권 취득률과 거의 비슷한 수치다. |
![]() |
|||||
조사응답자들의 한국 대선 투표권의 유무 (응답자수: 159명)
한국 대선에 대한 투표권과 관련하여 투표권이 있는 경우 투표 참여율을 알아보기 위해 “2022년 한국 대선의 투표권이 있다고 하셨는데, 귀하는 투표를 하실 예정입니까?”라고 질문하였다. 조사응답자 65명 가운데 71%는 ‘투표할 예정이다’라고 응답했고, 29%는 ‘투표하지 않을 예정이다’라고 응답해서 높은 투표 참여율을 보였다.
한국 대선 투표권 유무에 대한 응답자 159명 가운데 투표권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34%로 실제 사람 숫자로는 54명이 되어야 하는데 조사에서는 65명으로 나타나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22년 한국 대선에는 본 조사가 실시되기 직전인 11월 30일 현재 모두 12명의 출마가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이 12명의 예상 대선 후보자들을 모두 놓고 “귀하는 2022년 한국 대선 후보 중 누구를 지지하십니까?”라고 후보 지지도를 조사했다. 3. 교차분석 결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