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럼 | 광야의 소리 2022-01/02 목차로 가기 | 17 | |||||
‘오미크론(Omicron)’을 이기는 |
|||||||
![]() |
이제는 일상이 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전 세계로 확산한 지도 2년이 지나고 있습니다. 그동안 백신이 개발되어 많은 사람이 접종을 마쳤지만, 코로나바이러스는 세상을 여전히 위협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사람들을 위협하는 이유는 바이러스가 계속 변하면서 돌연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 |
|
||||
![]() |
한동안 잠잠하던 우려 변이가 지난달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발견되었고, 그 이름을 ‘오미크론’이라고 정했습니다. 이 변이 바이러스는 지금까지 발견된 변이 바이러스 중 13번째이기에 그리스 알파벳 순으로 보면 ‘뮤(μ)’라는 이름으로 불려야 하지만, 그리스 알파벳의 13번째와 14번째인 ‘뮤(μ)’와 ‘크시(ξ)’를 건너뛰고 15번째인 ‘오미크론(Omicron)’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나라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한국을 비롯한 수십 개 나라에서는 오미크론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된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근의 아프리카 국가로부터의 입국을 막아 버렸습니다. |
![]() |
![]() |
||||
이렇게 강력한 조처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를 비롯한 코로나바이러스는 좀처럼 사그라들 줄 모르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과 방역 완화를 통해 이제는 ‘위드 코로나’ 시대가 되었다고 하면서 일상 회복을 바라고 있지만, 여전한 위협 속에서 마스크 쓰기와 사회적 거리 두기에 지친 사람들의 인내심도 점점 한계에 다다르고 있는 것 같습니다. |
|||||||
‘크라운(Crown)’이라는 말은 왕의 권위를 나타내는 관이나, 승리를 상징하며 머리에 쓰는 관을 뜻하지만,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리실 때 쓰셨던 가시 면류관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
|